티스토리

ethne
검색하기

블로그 홈

ethne

ethne.tistory.com/m

에뜨네를 위한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구글 뉴스검색API 사용하기 최근의 뉴스 검색 AJAX API는 원하는 위치에 스크립트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재미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구글" 키워드로 만든 스크립트 상단의 뉴스바를 만드는 데에는 1분도 걸리지 않는다. 이른바 마법사 기능으로 가능한데, 마법사를 이용하면 고유키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기도 한다.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뉴스바의 마법사 페이지에 접속한 후 키워드와 서비스 할 인터넷 주소를 넣으면 자동으로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생성되는데, 그 코드를 원하는 위치에 넣으면 된다. http://cmb1004.cafe24.com Loading...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8. 17.
  • 야그(Yag3.0) 사용하기 YaG 3.0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다. 1. yag30.zip 압축을 푼다. 2. 호스팅 서버에 yag 폴더(디렉토리)를 만든 후에 FTP로 올린다. yag라는 이름이 아니어도 상관 없지만 yag 이름으로 폴더를 만드는 것이 편하다. 3. [yag디렉토리/conf] 디렉토리 권한을 777로 수정한다. 4. 브라우저 주소창에 install.php의 주소를 입력해 설치를 시작한다. ex) http://www.yagne.com/yag/install.php 5.설치완료후 로그인 ex)http://fttkorea.net/yag/login.php -> 로그인 ->야그 관리자 화면 6.야그 나타낼 위치에 코드 복사, 붙이기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8. 17.
  • 위성지도 통합판 "플래시어스" 사용하기 플래시어스(Flash Earth)는 구글어스(Google Earth)의 플래시버전이라고 볼수있다. 현재 플래시어스(http://www.flashearth.com/ )를 통해서 지원되는 세계지도서비스는 구글,MS,야후, 애스크닷컴(ask.com), 나사테라, 오픈레이어 의 위성지도서비스이다. 인터넷상에서는 구글맵(http://maps.google.com ), MS맵(http://maps.live.com/), 야후맵(http://maps.yahoo.com/)을 통하여 세계지도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8. 17.
  • 구글맵API 사용하기 국가 및 종족 위치도를 구글맵 API를 이용하여 만들어보자. 1.구글맵 API의 Key 구하기 1)http://www.google.com/apis/maps/ 에서 “Sign up for a Google Maps API key”클릭 2)삽입할 URL 입력 ( 예: http://fttkorea.net ) 3)세가지 정보 제공 : API 키, 사용해도 좋을 URL , 예제 HTML코드 (단.해당도메인 에서만 사용 가능) 2.예제 코드 수정하기 3.원하는 지역 좌표값 얻기 1)API Key값을 넣는다. 2)가로픽셀수 : 480px, 세로픽셀수 : 300px 를 예제코드에 넣는다. 3)http://maps.google.com 에서 원하는 지역 더블클릭후 “Link to this page”클릭 하면 ll=좌표값 (..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8. 17.
  • 야후바벨피쉬 번역툴 사용하기 1.http://kr.babelfish.yahoo.com/free_trans_service 에서 바벨피쉬 붙이기 버튼 클릭 2.팝업창의 코드를 해당웹페이지에 복사하여 붙여넣는다. 3.번역창안에 웹페이지주소 나 텍스트를 입력한후 번역언어 선택후 번역 버튼 클릭한다. * 12개 국어번역 : 영어, 한국어, 중국어,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포루투갈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 번역의 정확도를 위하여 올바른 철자,문법,구두점, 간결,명확한 표준어 사용 * 바벨피쉬(Babel Fish) 란 ? Douglas Adams의 작품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에 나오는 물고기 이름.(사람의 귀안에서 살면서 사람들이 말하는 모든 언어들을 이해할수 있게 도와주.. 공감수 0 댓글수 8 2007. 8. 17.
  • 레드윙 사용하기 레드윙 서비스 사용절차 (1)레드윙 접속 : http://red.miwing.com/ (2)레드윙 회원가입 (오픈ID인증): http://openid.daum.net/jangwg ) (3)나만의 레드윙 만들기 : 관리자페이지에서 나만의 레드윙 만들기 (4)내사이트에 넣기 : 자바스트립트 코드를 복사 내사이트에 복사하면 완료 레드윙의 기본기능 (1)타이틀바 영역 (2)인사말 영역 (3)방문자표시 영역 (4)콘텐츠윙 영역 (5)기타기능 : 줄글, 대화창 관리자 기능 (1)꾸미기 : 스트립삽입방법, 인사말, 색상설정, 레트윙 컨텐츠 (2)관리하기 : 새소식, 추천컨텐츠, 어제의 TOP10, 페이지조회통계, 레드윙 컨텐츠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8. 17.
  • IE & FF 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웹브라우저의 순위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OneStat.com의 2006년 7월 발표) 1. Microsoft IE : 83.05% 2. Mozilla Firefox : 12.93% 3. Apple Safari : 1.84% 4. Opera : 1.00% 5. Netscape : 0.16% 불여우와 IE 7.0의 대표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1)하나의 창으로 여러 문서를 볼 수 있는 탭브라우징 탭브라우징은 여러 개의 웹페이지를 탭 형태로 표시하는 기능이다. 이전까지의 IE는 하나의 문서나 사이트를 보여주기 위해 하나의 창이 필요했다. 때문에 동시에 네 개의 문서를 보려면 네 개의 창을 띄워야 했는데, 이는 매우 불편했다. 작업표시줄에 많은 아이콘이 나열되고 이 중에서 필요한 ..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8. 16.
  • FULL HD & Bluray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Full HD를, 차세대 저장매체로서 Bluray를 들수 있다. 고화질의 경우 고용량을 요구한다. 화질이 좋으면 그만치 커다란 용량을 필요로 한다. 이런의미에서 Full HD 와 Bluray는 같은 차세대의 AV시스템으로서 연관을 갖는다. 디스플레이의 변천은 SD => HD => FULL HD 로 진행된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8. 16.
  • UCC 와 RSS IT(Information Technology)는 정보기술로서 데이터(Contents)와 프로그램(Aplication)을 의미한다. UCC(User Created Conten:사용자제작물)는 데이터에 관련되어 있고,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는 프로그램에 관련되어 자유롭게 컨텐츠를 공유할수 있는 표준 포맷으로 발전한 것이다.. 우리가 편지을 써서 우편으로 보낸다면, 편지는 UCC에 해당하고, 우편발송은 RSS에 해당된다. 옛날부터 편지는 써왔다.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든 상대방에게 전달되었다. 그런데 이메일에 써서 발송하느냐에 따라, 블로그에 써서 올려놓느냐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UCC는 디지털화된 내용물을 웹상에서 새로운형태의 표맷으로 공유할 때 부르는 용어라고 할..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8. 16.
  • “hotfixes” 와 “mashup” 알아야 할것도 많고 해야할일도 많은 세상을 살아가면서 사람들은 언제부터가 나에게 필요한것만 찾게 되었다. 즉 “keypoint” “ highlight” “tip” ----등을 요구하기 시작하였다. IT의 세계에서도 그러한것들을 나타내는 용어가 있는데 바로 “hotfixes”와 “mashup” 이다. 두용어는 공통적인 있는데 그것은 바로 필요한 것(엑기스)만 뽑아서 엮는다는것이다. Hotfixes는 오프라인 유틸리티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인 반면에 mashup은 온라인상에서 open API(구글,네이버,다음,야후)로 인하여 홈페이지상에서 이루어지는 웹2.0 방식의 홈페이지 제작기술이다. “hotfixes”와 “mashup”은 많은 시간과 고단위 기술을 요하는것이기 때문에 일반인이 접근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8. 16.
  • 정보수집(Download) 다운로드(Download) 정보의 4단계는 정보검색(Search), 정보수집(Download), 정보가공(Edit), 정보공유(Link) 이다. 여기에서 정보의 2단계인 다운로드에 대하여 알아보자. 다운로드란 서버에 있는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예를들어 우리가 홈페이지를 통하여 정보를 열람하고 있다면, 그것을 프린터로 인쇄하거나 정보를 저장(save)하거나 정보화일을 다운로드 하기전에는 정보를 보존할 수가 없다. 다운로드는 크게 두가지 경우로 나눌수가 있다. 홈페이지의 정보를 콘덴츠(Contents)단위로 다운로드 하든지, P2P의 정보를 파일(File)단위로 다운로드하든지의 경우이다. 그러면 홈페이지의 콘텐츠단위로 정보를 저장(Save)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여기에서 홈페이지는 미니홈..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8. 16.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