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K Project
4K란 무엇인가?
jangwg
2007. 8. 16. 09:09
YWAM의 GLT팀은 미완성 과업을 성취하기 위하여 지리적 정치적인 구분을 담은 틀을 도입하였다. 이런 단위로 나눌 때 세계가 4376개의 오메가 존으로(2005년 3월 현재) 나뉘게 되고 따라서 이 프로젝트를 4000개가 넘는 오메가존이기에 4K(K는 1000에 가까운 단위를 말함) 라고 이름하였다. 더 쉽게 4K를 정의하자면 4K는 YWAM과 그리스도의 몸이 지상 명령를 완수하기까지 전진하며 추구할 수 있도록 돕는 지도이면서 세계를 4000개 이상의 지리적으로 구분한 틀이다. 오메가존이란 알파와 오메가에서 시작과 끝이라고 할 때 복음화 완성을 위해 우리가 섬겨야 할 지역, 총체적인 사역들이 일어날 마지막 지역을 의미한다.
한국의 예를 들어 보면 한국은 한 개의 국가이다. 하지만 여기는 68개의 오메가존으로 나뉘어 져 있다. 이것은 지리적 정치적 틀을 도입하여 한 국가로 먼저 나누어 중국이나 일본과 구분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차적으로 행정구분에 따라 부산, 대전, 대구는 각 한개의 오메가존으로 나누었고, 경기도는 30개 오메가존, 서울은 25개의 오메가존으로 나누었다. 이렇게 지리적 정치적 틀은 이해하기 쉽고 구분하기 쉬운 그리고 인구도 비슷하게 구분하였다.
4K 지도는 또 교회가 감당해야 할 선교의 목적을 강조하기 위해서 최소 복음화 된 지역을 기준으로, 교회가 존재하지 않는 곳에 좀더 관심을 두도록 인구의 구분단위를 달리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World A(미복음화) 지역은 거주민이 3백만 이상되는 오메가 존(zone)이 없을 때까지 나누고, World B (복음화된 비그리스도인) 지역은 6백만 이상되는 오메가 존(zone)이 하나도 없을 때까지, 그리고 World C (그리스도인) 지역은 9백만 이상되는 오메가 존(zone)이 하나도 없을 때까지 이차적으로 나눈다.
다시 말해서, 4K 프로젝트가 가능하도록 하는 두 가지의 단순한 개념이 있는데, 첫 번째는 전세계를 인구 분포 크기와 유사한 자연적 지리-정치적 단위로 이차적으로 나눈다는 것이고, 두 번째 개념은 미전도 지역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가 있지 않다” 라는 뜻의 미개척지는 바로 우리가 우리의 모든 사역과 자원을 집중해야 하는 곳들이다. 따라서 이것이 바로 이차적 구분을 만들어 낼 때 가장 주요하게 염두에 두고 결정하게 한 결정적인 요인 이였다.
이 틀은 어떤 선교 단체이든지 그들이 사역하는 곳과 혹은 사역하지 않는 곳들을 좀더 분명히 파악할 수 있도록 섬겨줄 것이다. 프로젝트 4K는 우리 모두에게 좀 더 분명하게 선교의 포커스를 맞추고, 더욱 강력하게 연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수전도단의 7mind molders 와 9frontiers를 연결하여 설명하고 있다. 4K 지도에는 각 오메가 존에 대한 인간개발지수, 기대수명, 문자해독률, 교회의 수, 미전도종족 비율, 1인당 소득, 깨끗한 물, 5세 미만 어린이 상황등을 볼 수 있다.(www. 이런 오메가존의 필요는 모든 지부, 모든 최전방 사역, 열방대학 사역들이 연결되어 총체적으로 변화되도록 섬겨야 하고 다양한 창조적 사역이 일어나도록 필요를 보여주는 지도이다. 우리 모두 4K 지도의 정보를 하드웨어로 두고 우리가 소프트 웨어가 되어 열방을 변화시키도록 하자. 타겟 2020의 비전이 모든 종족 나라 백성 방언에서 일어나도록 개척자로 살아가자.
본부장 김지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