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UPG 와 KML(제1부)
UUPG KML 아웃리치의 목표는 구글어스(Google Earth)를 매체로 UUPG의 생동감있는 현장를 입체적으로 구현하여 한국 그리고 세계의 교회와 선교단체에 KML형식으로 제공하고 제공받음으로 FTT운동을 동력화시키고 가속화 시키는것이다.
1. 왜 구글어스의 KML인가?
그동안의 선교를 동원하고 종족을 입양하기위한 매체로 각종의 문서나 이미지 그리고 동영상이 단기선교팀이나 현장선교사들에 의하여 산발적으로 사용되어져왔다. 하지만 막대한 시간과 예산을들여 개발되어졌던 귀중한 자료들이 각종 집회가 끝난후 일회용으로 쓰여지거나 또는 관련되어진 웹싸이트에 한시적으로 남겨지거나 사장되어 버렸다. 특히 한국의 많은 자료들이 외국선교단체들이 이미 구축해 놓은 데이타 베이스를 번역해서쓰는 경우가 많고 한국교회나 선교단체에 의해 개발된 자료들도 서로에게 나눠주기에 인색한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현재의 한국 FTT을 동력화 하기위해서는 통합된 표현매체가 필요한데 그동안 산재되어있는 표현 매체들을 한 형식으로 통합하면서 현대감각에 적합하고 미래 지향적인 매체로서 구굴어스의 KML은 강력한 씨너지 효과를 가져오리라고 믿고있다.
1) 구글어스는 지구전체의 인공위성 3D이미지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매우 현실감이있고 생동감이있으며 자유롭게 자기가 원하는 지형상에 텍스트와 이미지 그리고 동영상을 표시하여 KML이라는 형식으로 자기의 작품을 자유롭게 공유할수있고 편집이 용이하다.
2) 구굴은 현재 인터넷상의 웹써치엔진으로서 최고의 써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본적인 정책을 무료로 하고 있고 기술공개를 원칙으로 하고있으므로 앞으로 개발의 여지가 상업적인 타 회사에 비해 아주 빠른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구굴어스의 부라우져도 무료로 제공되어 누구나 쉽게 다운로도 받아 사용할수있다.
3) KML 파일은 아주 작은 사이즈로 신속하게 다운로드 받아 저장이 용이하고 텍스트 편집기로 쉽게 수정이 가능하다.
4) 구글 어스 사용자는 전 지구를 상대로 자유자재로 이동이 용이하며 마치 확대경를 통하여 사물을 크게 보듯이 타겟으로하는 지역를 사실에근거한 기반으로 먼거리 여행없이 세밀하게 분석하고 종합하여 전체와 부분을 유기적으로 볼수있는 정보을 제공해준다.
2. KML이란 무엇인가?
구글 어스 사용자 안내서에의하면 “KML은 Keyhole Markup Language의 약자로서 구굴 어스(3차원) 및 구굴 지도(2차원)에 표시하기 위해 점, 선, 이미지, 다각형 및 모델과 같은 지형 기능을 모델링 및 저장하기 위한 XML 문법 및 파일 형식이다”
<참고 - KMZ 파일은 KML 파일의 압축된 버전입니다. Google 어스에서 KML 및 KMZ 파일을 열려면 이들 파일의 확장자가 올바른 확장자(.kml 또는 .kmz)여야 한다.>
|
3. 구글 어스의 창설자는 누구인가?
현재 구굴 어스의 사장은 죤 행크(John Hanke) 이다. 그는
미국 택사스출신으로 구굴어스의 전신인 2001년에설립된 키홀회사
창설의 주역이다. 2004년에는 구글회사로 들어가 2005년부터는
구글 어스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시작해 현재까지이르고 있다.
죤 행크의 이력의 특이한점은 1966년 UC 버클리의 비지니스
전문과정에서 MBA를 취득한후 워싱턴 DC와 버마
에서 미외무성을 위해 일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1996년
“Meridian 59” 라는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대량의 복수게임사업의 창업에도 관여된바 있고 2000년도에는 eUniverse 라는 네트웍크 온라인 게임회사를 운영하기도 하였다. 그의 경력에서 보여지는것과 같이 구글 어스의 기본철학은 구조에 있어 게임이라는 가상현실의 성격을 띠고있고 몽상가 로서의 면모인 세계환경을 보존하고 아름답게 만들고자하는 의지가 담겨져있다.
4. 구글 어스팀 현재의 동향은?
현재 구글 어스의 최신 버전은 Google Earth 4.3 (http://earth.google.com/ ) 이다. 구글 어스팀은 자신들의 서비스를 비영리단체들-유엔 환경프로그램의 “변화하고있는 우리의 환경 지도 프로젝트” 나 Jane Goodall Institute 의 멸종해가는 침펜지의 서식 분포도 등의 환경보호 단체-에게 기술적인 지원을 하므로서 그들의 여러 프로젝트들을 돕고있다. 구글 어스의 전략은 아마 이러한 비영리단체를 지원하므로 구글의 이미지를 높이고 질적인 정보와 인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구글 어스팀은 비영리단체의 스텦들에게 무료로 구글어스 프로를 사용하도록 제공해주고 그들을 기술적으로 훈련하여 구글 어스 아웃리치(http://earth.google.com/outreach/index.html ) 라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그들로 하여금 질이높은 지형학적인 정보를 확보하기위해 노력을하고 있다. 구글어스의 위력은 지난 미국 뉴 올랜드의 카타리나 허리케인 강타후 옥상꼭대기의 생존자들을 구조하는데 도움을 가져오기도 했다.
하지만 모로크나 바레인 같은 몇몇 중동 나라에서는 강한 저항을 보이기도 했다.
구굴어스팀이 비영리 단체들을 지원하더라도 종교적으로는 중립을 지키고 있다.
5. 기독교 공동체에서는 구굴 어스가 어떻게 활용 되어지고 있는가?
대개 성경상의 지형을 돕기위해 사용되어 지기 때문에 이스라엘 한나라에 촛점이 마추어저 있다.
“성서지도” (http://biblemap.org/)가 한 예 이고 좀더 조직적으로 준비해 놓은 “오픈성서” (http://www.openbible.info/geo/ )가 있다. 오픈성서에서는 성경각권상에 나오는 모든 지형을 KML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받아 사용할수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해 놓고있다. 그리고 대개의 경우는 자신들의 교회 위치를 구글어스상에서 알려 주는것에 그치고있다.
( http://bbs.keyhole.com/ubb/showthreaded.php/Number/1108041 )
6. 선교 공동체에서는 구글어스가 어떻게 활용되어 지고 있는가?
내가 알고 있는 범위 내에서는 국제 예수전도단(Youth With a Mission)의 하와이열방 대학의 IT팀의 4K분과에서 그들이 창안한 지도를 구글어스로 컨버팅을한 전세계의 오메가존을 구굴어스상에서 볼수있다.(http://www.ywam4k.org/googlemap.aspx )